산불에 의한 산림생태계 파괴
부주의로 인해 연평균 1천400ha 산림훼손
산림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극단적
한국수권환경연구센터 이승호 책임연구원
우리나라는 국토의 65%가 산지이며, 이중 97%가 입목지로서 산불 발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임에 틀림없다. 또한 경사와 굴곡이 심한 산악형 지형으로 연소가 보통지형 보다 8배 이상 급속히 전개되며 몇년전 큰불이 발생한 강원도 지역이 그 예이다.
동해안지역은 기상(푄현상과 해풍), 임상(소나무), 지형(급경사) 등의 복합적 요인 때문에 산불 발생시 대형재난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우리나라는 산불에 의해 2003년도에 약 270건, 약 750ha의 면적이 훼손되었으며 최근 5년간(99~03년) 연평균 540건의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하였다. 연중 가장 건조하고 바람도 강한 봄철에 연간 산불발생 건수 대비 89%이상, 면적대비 99%이상이 일어났다.
주 5일 근무제 시행으로 여가인구가 증가됨에 따라 등산객 취사행위, 담뱃불 등의 부주의로 산불이 발생하며, 산불의 발생원인 별로는 입산자 실화 42%, 논밭두렁 소각 19%, 담뱃불 실화 9%, 쓰레기 소각 8%, 성묘객 실화 7%, 기타 15%로 나타났다. 이중 토.일요일 및 공휴일에 산불발생건수의 39%가 나타났다.
산불로 인하여 연평균 1천400ha나 되는 산림이 산불로 인해 피해를 받고<표 1> 그 속에 공존하던 생물들은 힘없이 불에 타 재로 변했다.
산불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극단적이며 파괴적이다. 모든 생명체를 죽음에 이르게 하여 산림생태계 전반에 교란을 야기하며, 그 곳에 생존하던 생명체를 모두 사라지게 하다. 고유종, 희귀종, 멸종위기종을 가리지 않고 모두 없앤다. 이 땅에 동식물이 사라진다면 인간은 절대 살아갈 수 없다.
인간의 생태적 지위는 고차소비자이다. 생산자인 식물과 사슬처럼 엮여 있는 저차소비자, 분해자인 미생물의 복합적 상호작용이 끊어진다면 인간은 당연히 멸종되게 된다. 이 사실적 결론은 누구나 유추하여 낼 수 있다. 사실 산불예방과 보존방안 이외에는 뚜렷한 대책과 방책이 없다. 당장 우리 앞에 이러한 환경파괴 부메랑에 의해 직접 죽어가는 사람들이 생겨났을 때 비로소 인류는 자연에게 손을 들고 항복을 할 것이다. 그 때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죽게 될 것이며 회복방안을 강구하더라도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이뤄지게 될 것이다. 회복을 한다고 하더라도 훼손부분의 몇 %도 안 되는 부분만이 인류 곁으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
산불이 난 곳은 자연회복을 유도하는 것이 최선이나 무작정 기다리는 것은 산사태, 장마 때의 수해 등의 위험 부담을 안고 가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
결국 산불은 예방이 최선이며 모든 최악조건 발생을 억제하는 지름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관계기관과 교육기관, 언론매체들의 꾸준한 산불예방 교육과 홍보, 감시체제 구축, 산불진압 협동체제 구축 등을 꾸준히 철저하게 진행시켜야 할 것이다.
“숲에는 우리의 희망과 미래가 담겨 있다”